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정보

직장가입자 4월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 정산 안내

by 친절한 서연씨 2023. 3. 20.
728x90

직장가입자 4월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 정산 안내

4월은 2022년 귀속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 정산월입니다.

참고로 국민연금은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과 다르게 연말정산이 없어 환급 및

환수가 없으며, 전년도(2022년) 소득 기준으로 2023년 7월부터 반영되어 1년 동안 적용되어

납부됩니다.

 

건강보험 연말정산이란?

- 건강보험은 전년도 보수총액(비과세 제외)을 기준으로 2022년 건강보험료를 우선 부과

  합니다. 

   이에 2023년 2월 연말정산 후 확정된 2022년 보수총액(비과세 제외)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정하여 2022년 납부한 보험료와의 차액을 2023년 4월 보험료에 추가 또는 반환합니다.

   급여 인상 및 상여금이나 근속수당, 시간 외 수당, 스톡옵션 행사등 발생 금액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정산금액이 발생합니다.   

   

   ★ 계산방법 : 2022년 납부한 보험료 - 2022년 확정된 보험료 = 2023년 4월 정산 보험료

         ----> 2022년 소득으로 책정된 건강보험료는 2023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적용되어

       납부됩니다.

       (만일, 인센티브나 상여금등 지급 금액이 많이 증가한 경우에는 다음 해인 건강보험

        연말정산 시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보수월액 변경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국민연금은 기준 소득월액 대비 20% 이상 변동 시에만 변경 가능하며, 근로자

        동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728x90

     

  *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stock option)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은 근로 계약 당시 일정한 조건을 부여하고, 그 조건이 되었을 때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성과급으로 주식매입에 따른 차액,

   즉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이익은 행사 시 당해 연도의 근로소득에 포함되며,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산정 시 보수에 포함됩니다.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이익이 비과세인 경우에도 건강보험료, 고   용보험료 산정 보수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 관련근거
     국민건강보험법 제69조 및 제70조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33~제36조, 제38조, 제39조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제40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9조

 

 

※ 건강보험료 분할납부

     정산된 건강보험료가 당월 보험료 이상인 경우에는 별도의 신청 없이 10회분으로

     고지되어 나옵니다.

     1회에서~9회까지 분할 납부할 수 있으니,  회사의 담당자에게 신청하시면 됩니다.

     또한, 10회 분할보다 일시납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10회 분할 적용제외 신청'을 별도로

     신고하셔야 하오니 회사의 담당자에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댓글